'무의식'이란 자신의 언동이나 상태 따위를 스스로 깨닫지 못하는 일체의 작용이며 그 전제에 의식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안 된다.
'의식'은 인간을 일반적으로 두고, 내가 의식하고 있을 때, 자명적( 설명이나 증명을 하지 않아도 저절로 명백한)으로 존재하고 이해되는 무엇인가이다.
'비 의식'은 자신이 의식하지 못하는 두뇌의 활동이며 사고 과정, 기억, 동기 따위 없이 자동으로 발생하거나 작동할 수 있는 심리적, 정신적 작용이다. 즉 자신과 주위 환경에 자각이 없는 상태를 말한다.
이 개념은 오스트리아의 신경학자이자 정신분석학의 창시자인 지그문트 프로이트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프로이트가 제창한 정신분석학이나 카를 융이 제창한 분석심리학에서 무의식은 마음속의 의식이 아닌 영역이다. 정신분석학 이론에서 무의식적 작용은 꿈이나 농담 따위를 통해 직접적으로 나타난다고 이해된다.
뇌신경과학 같은 비정신분석학적 학문에서는 무의식적 활동이란 의식적 자각에 전적으로 따르지 않는 정신적 활동을 가리키는 말로써 사용하며 이 경우 이를 '비의식'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정신분석학에서 말하는 것 같은 별개의 영역으로서의 무의식 개념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따위의 이론을 전제로 이루어지는 것과 달리 신경과학이나 인지심리학 등에서의 비의식(무의식)은 그러한 이론과는 달리 경험적이고 과학적인 연구 데이터에 기반하여 다루어야 할 대상으로 본다. 예컨대 인지과학 연구자들은 사람이 의식적 사고를 통해서 얻는 정보보다 더 많은 정보를 의식적 자각 바깥에서 자동적, 비의도적으로 획득할 수 있음을 밝혀냈으며 이러한 것의 주요한 예로 자동적 사고의 무의식적 작용이 언급된다. 한편 일부에서는 정신분석학적인 무의식의 존재 자체에 대해서는 의심받기도 한다. 모리스 메를로퐁티 같은 현상학자들은 무의식도 "수동적 의식"으로서 결국 의식의 연장이라고 생각했으며, 에리히 프롬은 정신분석학자이지만 프로이트적인 의미에서의 무의식을 부정했다.
이와 같이 의식은, 주관적으로 파악되어 왔지만, 근대에 성립한 과학이 그 연구 대상으로 하려면, 객관적인 규정으로서는 적절하지 않고, 애매하고, 한편 정량적 파악도 곤란했다.
때문에 심리학에서도, 마음이나 영혼, 혹은 의식은 과학적으로 정의되지 않는다고 하고, 자극과 반응 그리고 심리학을 쌓아 올리려고 한 행동주의 심리학 등이 출현했다. 현재에도 마음의 개념과 같이, 의식의 개념도 주관적으로 파악되는 것에 지나지 않고, 그 존재를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라고 생각하는 심리학파도 있다. 그러나, 과학적 대상으로 객관적 파악이 곤란이라고 해도, 「의식을 의식하는 사람에게는, 의식의 존재는 자명하다」라고 하는 명제도 또한 진리라고 생각할 수 있는 것부터(주관적 파악), 과학적 객관적으로는 관찰되지 않는 것으로 해라, 마음의 개념과 같이 의식의 개념도 존재하고 있으면 최초부터 전제 하는 심리학도 많다. 적어도 일반인은 의식이 없다고는 생각하는 사람은 적다. 그 때문에 과학적으로 증명되어 있지 않아도, 의식은 자명의 것으로 해 다루어지거나 하는 것이 현상이다.
물론 의식도 또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학파도 있어, 확정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상이다. 한편, 약한 의미로 「의식이 없다」는 경우는, 「눈치채지 못한다」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예를 들면, 음악을 들으면서 책을 읽고 있으면, 처음은 책의 문장의 내용과 음악의 양쪽 모두가 의식된다. 그러나, 독서에 집중하고 있고, 문득 무엇인가로 중단되면, 「음악이 갑자기 들려 온다」라는 일이 있다. 음악은 쭉 울리고 있었지만, 독서에 집중하고 있었기 때문에, 음악의 진행에 「눈치채지 못하게」 된 것이다.
인간은 시간 속에서, 매우 다수의 감각 자극이나 의미의 자극을 받아 그 대부분을 의식하고 있다. 그러나, 「의식하고 있지 않다·눈치채지 못하다」 감각 자극이나 의미의 자극으로, 대뇌는 감수해, 기억에 새기고 있는 것은, 더 방대한 양이 존재한다. 기억에 관한 심리학의 실험으로부터 그것을 말할 수 있다.
인간은 여러 가지 것을 의식하지만, 목전, 혹은 지금 여기의 감각적・의미적 자극의 패턴 이외로, 의식하는 것은, 광의의 기억이다. 기억의 재생은, 어느 말이나 지식 등이 재현되기도 하지만, 또 내적인 이미지의 형태로, 과거의 정경(시각적・청각적등)이 생각나기도 한다. 기억은 일상적으로 재현되고 있어 복잡한 순서가 있어야 하는 작업에서도, 그 하나하나의 순서를 의식하지 않는 것으로, 기계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복잡한 한자를 쓰는 경우, 어느 선을 긋고, 다음은 어느 선을 어디에 어떻게 추가 기재라고 등과 하나하나 기억을 더듬고 쓰고 있는 것은 아니다. 기억을 상기하고 있다고 하는 의식 없이, 매우 많은 일이, 이 현재에 상기되어 이미지나 감정이나 의미로 구성되는 의식의 흐름이 지속하고 있다. 그러나, 그 외분으로, 무엇인가를 생각해 내려고, 확실히 알고 있을 것인데, 아무래도 생각해 낼 수 없는 케이스가 존재해, 이때, 의식의 매끄러운 흐름은 막혀, 기억을 재생하려고 하는 노력이 의식에 오른다. 생각해 내려고, 노력 등이 필요한 기억은, 매끄럽게 흘러가는 의식의 영역에는, 상기가 성공할 때까지는, 존재하지 않았던 것이 된다.
그럼, 그러한 기억은 어디에 있었는가. 물론, 대뇌의 신경세포 구조 관계의 패턴 속에 존재하고 있었던 것이다가, 주관적인 경험으로서는, 그러한 기억은, 현재의 의식 영역의 밖, 전의식이라는 영역에 있었다고 여겨진다. 일상적으로 흘러가는 의식 속에서는, 여러 가지 의식의 대상이 존재하고 있다. 이 현재의 의식의 대상은, 눈앞, 하고 있는 감각・의미・감정등의 패턴이지만, 또, 정체가 없는 자연스러운, 눈치채는 일 없이 상기되고 있는 기억의 내용이, 그 대상이다. 의식이라는 말 자체가, 각성 의식이 있다, 무언가에 눈치채고 있다고 하는 통상적인 의미 이외에, 주체가 의식하고 있는 대상의 총체가 존재하고 있는 영역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인간은 일생 속에서, 방대한 양의 기억을 대뇌의 생리학적인 기구에 새긴다. 그 안에서, 재차, 기억으로서 의식에 재생되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의 기억은, 재생되지 말고, 대뇌의 기억 저장 기구 속에서 유지되고 있다. 무엇인가를 의식하고 있다, 또는, 무언가에 눈치챈다고는, 대상이, 의식의 영역에 들어오는 것, 의식에 올라오는 것을 의미한다고도 말할 수 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빈헬름 분트_심리학의 아버지 (0) | 2022.09.07 |
---|---|
트라우마_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1) | 2022.09.07 |
칵테일 파티 효과 (0) | 2022.09.06 |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0) | 2022.09.06 |
방어 기제란 무엇인가 (0) | 2022.09.06 |
댓글